[22.09.02] AWS[4]
cd conf/
ls
server.xml이 나올것이다. <- 포트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이파일을 수정해줘야 한다.
[[ ======톰캣 포트설정을 진행하기 위해 $vi /usr/local/tomcat/conf/server.xml ========]]
conf로 들어가야 server.xml이 나옴 [교안 수정되었음]
[root@ip-172-31-26-7 tomcat]# cd conf/
[root@ip-172-31-26-7 conf]# ls
catalina.policy jaspic-providers.xml server.xml web.xml
catalina.properties jaspic-providers.xsd tomcat-users.xml
context.xml logging.properties tomcat-users.xsd
[root@ip-172-31-26-7 conf]# vi /usr/local/server.xml
[root@ip-172-31-26-7 conf]# vi server.xml
[root@ip-172-31-26-7 conf]# cd ..
[root@ip-172-31-26-7 tomcat]# ls
보안적인 내용 db비밀번호, 엔드주소는 프로퍼티파일을 따로 만든후 깃허브에 절대 올리면 안된다.
# sudo yum install git => 깃을 설치 후
# git clone [저장소 주소]
보안을 위해 따로 설정해둔 프로퍼티파일을 만든다.
# cd src/main/resources/ => 경로 이동
#touch db_info.properties => 파일 만들기
#vi db_info.properties => 편집기로 프로퍼티 파일 열기
esc + i 하여 aws.rds_user_name=jaeyoung
프로퍼티 파일에 작성했던 대로 작성.
작성하면 esc + wq! => 작성완료
빌드 준비 끝!
build.gradle이 들어 있는 폴더로 이동.
cp {깃허브에 올린 프로젝트 이름}/build/libs/ROOT.war .
#cd ../bin/
#tomcat 실행